본문 바로가기

Programming/Python3

[Python] 문자열 대/소문자 변환하기 - upper(), lower() 함수 가이드 파이썬에서 문자열의 대/소문자를 변환할 수 있는 함수들을 알아보자 !!Contents문자열을 대문자로 변환하기 - upper() 함수문자열을 소문자로 변환하기 - lower() 함수참고 - 문자열이 대/소문자로 이루어져있는지 판단하기 : isupper(), islower() 함수1. 문자열을 대문자로 변환하기 - upper() 함수문자열의 모든 소문자를 대문자로 변환해주는 함수이다.이때 원본 문자열은 바뀌지 않고, 변환된 새로운 문자열을 반환한다.text = "hello world!"upperText = text.upper()print(upperText)# 출력 결과HELLO WORLD!2. 문자열을 소문자로 변환하기 - lower() 함수문자열의 모든 대문자를 소문자로 변환해주는 함수이다.이때 원본 문.. 2025. 1. 28.
[Python] 조건에 맞는 데이터 추출하기 - filter() 함수 오늘은 특정 조건에 맞는 요소를 걸러내는 함수인 filter 함수에 대해 공부해보자 !! ⌯ᵔ⤙ᵔ⌯ಣ- filter() 함수란?filter(함수, 시퀀스 자료형)여러 개의 데이터 중 특정 조건에 맞는 요소들만 추출할 수 있는 함수이다.function : 조건을 정의할 함수(각 요소를 입력받아 True 또는 False 반환)iterable : 리스트, 튜플, 문자열 등 반복 가능한 객체filter 함수를 사용하면 조건을 만족하는 요소들로 구성된 filter 객체를 반환한다. 따라서 리스트나 튜플 등 원하는 자료형으로 변환하여 사용해야 한다!lambda 함수와 같이 사용하면 아주 편리하다 ㅎㅎ-> list comprehension과 크게 다른 점을 느끼지 못 했다 ..- 예제 코드 : 정수 리스트에서 짝수만.. 2025. 1. 28.
[Python] 아스키 코드 변환하기 - ord()와 chr() 함수 가이드 프로그래밍을 하다 보면 문자와 아스키 코드 간 변환을 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.오늘은 이러한 작업을 해주는 파이썬의 두 가지 내장 함수, ord()와 chr()에 대해 알아보자.Contents1. ord() 함수란?2. chr() 함수란?1. ord() 함수란?단일 문자를 아스키 코드로 변환해주는 함수이다. (문자 -> 숫자) ord(문자) 무조건 하나의 문자만 처리할 수 있다. 매개 변수로 문자열을 줄 경우 TypeError가 발생한다.print(ord('A'))print(ord('a'))print(ord('0'))# 출력 결과6597482. chr() 함수란?숫자를 입력받고 해당 숫자에 대응하는 아스키 문자를 반환한다. (숫자 -> 문자)ord() 함수의 반대 함수라고 생각하면 쉽다.chr(숫자).. 2025. 1. 21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