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Coding/Python - Codeup

[코드업/Codeup] Python : 1001~1008 풀이 [기초-출력]

by 이브(Eve) 2024. 8. 30.

# 6001 : [기초-출력] 출력하기01(설명)(py)

입력 : 

출력 : Hello

print('Hello')

 

' '(작은 따옴표)또는 " "(큰 따옴표)로 묶어 문자열 Hello를 출력하겠다는 것을 꼭 표시해주어야 합니다!


# 6002 : [기초-출력] 출력하기02(설명)(py)

입력 : 

출력 : Hello World

print('Hello World')

# 6003 : [기초-출력] 출력하기03(설명)(py)

입력 : 

출력 : Hello

          World

1 ) 줄바꿈 문자(\n) 이용하기

print('Hello\nWorld!')

 \n = 줄 바꿈 문자로, '개행 문자'라고 합니다. \n을 입력하면 엔터를 친 것과 같은(줄바꿈) 효과가 나타납니다.

 

보충 설명 : 이스케이프 문자

  • 역슬래시(\) + 영문자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, '\'를 붙이면 그 뒤에 오는 문자가 특수한 의미를 가지게 됩니다. \n은 (new line)에서 따온 n으로, 이스케이프 문자 중 하나입니다.

2 ) print 함수 두 번 사용하기

print('Hello')
print('World')

print함수는 출력하려는 문자열의 끝에 자동으로 '\n'을 붙여줍니다. 따라서 print 함수를 두 번 사용하면 원하는 출력 값을 얻을 수 있습니다.

(print함수에서 출력할 문자열의 마지막을 처리하는 매개변수 end의 기본형이 end='\n'이기 때문입니다. print('Hello', end=' ')와 같이 end값을 바꿔주면 'Hello'를 출력하고 그 뒤에 공백을 출력하여, 'Hello World'가 출력됩니다.) 


# 6004 : [기초-출력] 출력하기04(설명)(py)

입력 : 

출력 : 'Hello'

1) 이스케이프 문자로 따옴표를 출력하기 ('\)

이스케이프 문자에 대한 설명은 6003번의 풀이를 참고해주세요!

print('\'Hello\'')

기본적으로 파이썬에서는 작은 따옴표나 큰 따옴표로 감싼 부분을 문자열로 인식합니다. 따라서 따옴표만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다른 방식으로 출력해야 합니다.

이스케이프 문자 \' : 작은 따옴표를 출력합니다.

 

2) 큰 따옴표(" ")로 전체 문자열을 묶기

print("'Hello'")

 

큰 따옴표와 작은 따옴표는 구분되기 때문에 큰 따옴표로 전체 문자열을 묶어주면 작은 따옴표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.


# 6005 : [기초-출력] 출력하기05(설명)(py)

입력 : 

출력 : "Hello World"

1) 이스케이프 문자로 따옴표를 출력하기 (\")

print("\"Hello World\"")

 

2) 작은 따옴표(' ')로 전체 문자열을 묶기

print('"Hello World"')

# 6006 : [기초-출력] 출력하기06(설명)(py)

입력 : 

출력 : "!@#$%^&*()'

print('\"!@#$%^&*()\'')

이스케이프 문자(\"와 \')를 사용합니다.

이스케이프 문자에 대한 설명은 이 게시글의 6003번, 6004번 풀이를 참고해주세요!


# 6007 : [기초-출력] 출력하기07(설명)(py)

입력 : 

출력 : "C:\Download\'hello'.py"

print("\"C:\\Download\\\'hello\'.py\"")

이스케이프 문자(\" \' \\)를 사용합니다.

이스케이프 문자에 대한 설명은 이 게시글의 6003번, 6004번 풀이를 참고해주세요!

이스케이프문자 \\ : 역슬래시(\)를 출력합니다. \를 하나만 사용해도 Python에서는 대체로 잘 출력되지만, 뒤에 오는 문자를 이스케이프 문자로 인식하여 제대로 출력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.

+) C언어와 같은 언어에서는 무조건 \\를 사용해야 역슬래시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! 


# 6008 : [기초-출력] 출력하기08(설명)(py)

입력 : 

출력 : print("Hello\nWorld")

print('print("Hello\\nWorld")')

이스케이프 문자 \\를 사용해 역슬래시를 출력합니다.

이렇게 하면 역슬래시가 이스케이프 문자로 인식되지 않아 원하는 출력값을 만들 수 있습니다.

이스케이프 문자에 대한 설명은 이 게시글의 6003번과 6004번, 6007번 풀이를 참고해주세요!

 

코드에 대한 피드백은 언제든지 환영입니다!